알루미늄 팬 - 소재, 제작 방식, 어울리는 요리 및 활용까지

이번에는 알루미늄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후라이팬의 소재


알루미늄 (Aluminum)


알루미늄의 일반적 특징


알루미늄은 가벼운 금속입니다. 원소기호 Al, 주기율표상 13번으로 지구상에서 13번째로 가벼운 원자입니다  


알루미늄



지각의 구성원소 중에서는 철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을 정도로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일상 기구, 노트북 등 전자기기에 널리쓰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알루미늄 활용


알루미늄의 무게는 철보다 약 3배의 가벼운 밀도를 지닙니다. 동시에 열전도율이 우수합니다. 열이 빠르게 전달되어 주방용품의 기물로 사용된다면 음식의 조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그런데, 내식성이 낮습니다. 내식성은 부식에 대한 저항력을 뜻합니다. 알루미늄은 산성이나 염분이 많은 환경에서 부식되기 쉽습니다. 사용 후 설겆이를 하지않고 젖은 상태로 놓아두면 사용할 수 없게 망가지기도 합니다. 게다가 연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변형이 쉽게 올 수 있습니다. 


알루미늄은 인체에 흡수되지 않고 거의 배출되며, 흡수가 되어도 신장에서 걸러져 소변으로 배출되어 중금속 중에는 인체에 무해하다고 알려져있습니다

다만, 최근 잠재적인 위험성을 예방하기 위하여 알루미늄의 섭취를 줄일 것을 권장하는 움직임이 있고, 정확히 입증되지는 않았으나 알츠하이머 환자에 뇌에서 알루미늄이 다량 축적된 것이 발견되었다라는 것을 근거로 알루미늄이 치매, 알츠하이머의 원인이 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알루미늄의 열 전도율 비교표

간단하게 표로 정리합니다. 

열 전도율 순위



알루미늄의 가격

알루미늄의 가격은 중금속 중에서는 아래 표와 같은 가격대의 위치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흔한 중금속이기는 하지만, 뽑아내는데 비용이 들다보니 철보다는 비싼 금속으로 거래된다고 합니다.. 

아래 표는 AI에서 2024년 12월을 기준으로 산출해낸 금속 가격입니다. 단순 참고 자료로만 보면 좋을 듯합니다. 

금속 가격
출처 : ChatGPT


알루미늄으로 팬을 만드는 방법

알루미늄을 소재로 만든 후라이팬은 다음과 같이 여러가지 제조법을 거쳐서 후라이팬으로 제작됩니다. 모든 제조법을 다 적어보는 것은 의미가 없을 듯하여 대표적으로 알아야 할 개념 몇가지 정리해보겠습니다.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제일 먼저 이야기 해 볼 만한 것이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입니다. 다이캐스트는 흔히 우리말로 주조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주조는 액체상태로 녹은 뜨거운 금속을 금형(틀)에 부어서 만드는 방식입니다.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팬은 먼저 모양을 틀을 만들고 뜨겁게 녹은 알루미늄을 이 틀에 부어 만든 팬을 뜻하며, 일반적인 압출 알루미늄 팬보다 두껍고 견고하며, 열 분포가 균일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1. 알루미늄 용해: 알루미늄을 고온(약 660℃)에서 녹입니다.

2. 금형 주입: 녹인 알루미늄을 고압으로 금형에 주입하여 성형합니다.

3. 냉각 및 탈형: 금형에서 빠르게 냉각시켜 팬의 형태를 유지한 후 꺼냅니다.

4. 가공 및 연마: 팬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하고, 필요한 경우 손잡이를 부착합니다.

5. 코팅 처리(선택 사항): 논스틱(테프론, 세라믹) 코팅을 추가하여 음식이 눌어붙지 않도록 합니다.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방식의 제조는 열전도율이 높고 균일하며 내구성이 높고, 두께가 두꺼워 일반 알루미늄 팬보다는 열 보존력이 뛰어납니다. 물론 주물(캐스트 아이언) 팬보다는 가볍습니다. 그리고 금형을 이용하다보니,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디자인 된 팬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동일한 두께의 스테인레스 팬, 주물 팬보다는 저렴한 편입니다. 

하지만, 일반 알루미늄 팬보다는 무겁고, 강한 충격에 약하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팬 VS 일반 알루미늄 팬

대표적인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팬은 독일의 WMF 실리트 등 고급 조리도구 브랜드 등이 있으며, 이탈리아의 발라라 등의 알루미늄 팬 제조 브랜드들이 있습니다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의 종류


알루미늄 다이캐스팅도 주조 방식에 따라 몇가지로 나뉩니다. 

다양한 방식이 있지만, 주방용품에 사용되는 방식중 주요 방식은 중력 다이캐스팅과 저압 다이캐스팅입니다. 프라이팬, 냄비, 그릴 팬 등 고급 주방용품은 일반적으로 중력 다이캐스팅(GDC) 또는 저압 다이캐스팅(LPDC) 방식을 사용합니다. 고압 다이캐스팅(HPDC)은 가벼운 알루미늄 용기나 대량 생산 제품에 사용됩니다. 

중력 다이캐스팅은 녹은 금속을 중력에 의해 금형에 부어 채우는 방식이고, 고압은 15,000~20,000 psi으로 빠르게 주입, 저압은 300 psi으로 서서히 주입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알루미늄 주조 방식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방식은 적용 대상과 품질 요구 사항에 따라 선택됩니다. 주방용품 제조에 적합한 방식을 고려할 때, 강도와 내구성을 중시하는 경우 GDC나 LPDC가 적합하며, 대량 생산과 정밀도를 중시하면 HPDC가 적합합니다.





코팅 vs 무코팅


알루미늄은 산화에 약하고, 눌러붙는 성질 때문에 코팅팬을 많이 사용합니다. 이 주제는 알루미늄 팬에만 국한된 개념은 아닙니다. 추후에 별도 주제로 다루게 될 예정입니다. 별도의 글을 참조해주세요. 



알루미늄 코팅팬

알루미늄팬 (중력 주조, 세라믹 코팅)




국가별 알루미늄 팬의 모습

알루미늄 후라이팬은 가볍고 열전도율이 뛰어나 가정용, 업소용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특히 이탈리아, 일본, 미국에서는 품질 높은 알루미늄 팬이 많이 사용되며, 중국과 인도에서도 실용적인 이유로 널리 활용됩니다.

이탈리아에서는 파스타, 리조또 등의 빠른 조리가 필요한 요리가 많아 가벼운 알루미늄 팬이 선호됩니다. 바칼라니, 발라라니 브랜드 등 높은 품질의 이탈리아제 알루미늄 후라이팬이 유명합니다.

미국에서는 논스틱 코팅이 된 알루미늄 팬이 많이 사용 됩니다. 합리적인 가격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합니다. 

일본에서는 가벼운 조리도구를 선호 하는 문화로 인해 알루미늄 팬이 많이 사용 된다고 합니다. 계란 말이 팬(다마고야키 팬) 등 특수한 형태의 알루미늄 팬이 있습니다. 

중국은 업소용 대형 알루미늄 팬이 많이 사용 되고, 저렴한 가격의 대량 생산 제품이 많이 있습니다 

인도에서는 가벼우면서도 열전도율이 좋은팬이 선호가 되고 있으며 다양한 향신료 요리를 할 때 빠르게 온도를 조절할 수 있어 알루미늄 팬이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합니다. 


스테인리스 코팅팬



알루미늄 팬에 적합한 요리들

계속 말씀드린 것처럼 알루미늄 배는 열전도율이 높고 가벼우면 빠르게 가열되는 특징이 있어서 단시간에 조리 해야 하는 요리나 균일한 온도가 중요한 요리에 적합합니다.

알루미늄 팬에 적합한 대표적인 요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알루미늄 팬에 적합한 요리



댓글 쓰기

Adsense_MJ_Display